반응형

1. 사례 개요
C 요양원에 거주하는 80대 남성 D 어르신은 하루에 수십 번씩 물을 마시고, 세수를 반복하는 행동을 보인다. 요양보호사들은 처음에는 단순한 개인 습관으로 여겼으나, 이러한 행동이 지속되면서 원인 분석과 해결 방안 마련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본 사례 관리는 어르신의 행동 원인을 다각도로 분석하고, 적절한 개입 전략을 통해 문제 해결을 도모하였다.
2. 사례 분석
1) 신체적 요인
- 당뇨병 또는 신장 질환: 과도한 물 섭취는 당뇨병이나 신장 기능 저하로 인한 갈증(다음, polydipsia)의 신호일 가능성 있음.
- 구강 건조증: 노화로 인해 타액 분비가 감소하거나 특정 약물 복용으로 인해 입안이 마를 수 있음.
- 피부 질환 또는 감각 이상: 반복적인 세수는 얼굴에 불편함(가려움, 건조함, 따가움 등)을 느낄 가능성을 시사함.
2) 심리적·정서적 요인
- 강박 행동: 세수를 반복하는 행동은 강박증(OCD) 또는 치매 관련 강박 행동의 일부일 가능성 있음.
- 불안감 해소: 물을 마시거나 세수를 하는 행동이 어르신에게 안정감을 주는 일종의 자기조절 행동일 수 있음.
- 과거 습관: 젊었을 때 물을 자주 마시거나 세수를 자주 했던 생활 습관이 남아있을 수 있음.
3) 환경적 요인
- 기온 및 습도 변화: 요양원의 실내 환경이 건조하거나 더운 경우, 지속적인 갈증과 피부 건조감이 발생할 수 있음.
- 일과의 변화: 요양원 입소 후 환경 변화로 인해 불안을 느끼고 특정 행동을 반복할 가능성 있음.
3. 해결 방안 및 개입 전략
1) 신체적 요인 해결
- 건강 검진 진행: 당뇨병, 신장 질환, 갑상선 기능 이상 등의 질환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혈액 검사 및 건강 체크 진행.
- 구강 건강 관리: 구강 건조가 원인이라면 충분한 수분 공급과 함께 무설탕 사탕 또는 입안 보습제 제공.
- 피부 보호: 피부 건조로 인해 세수를 반복할 가능성을 고려하여 보습 크림 사용을 유도하고, 적절한 습도를 유지.
2) 심리적·정서적 개입
- 불안감 완화 프로그램 제공: 명상, 음악 치료, 손 마사지 등 정서적 안정감을 줄 수 있는 프로그램 참여 유도.
- 일상 속 루틴 형성: 물 마시기와 세수 시간을 정해놓고, 특정 시간에만 수행하도록 유도하여 과도한 행동을 줄이는 방향으로 지도.
- 긍정적 강화 제공: 정해진 루틴을 따를 경우 칭찬과 보상을 통해 긍정적인 행동을 강화.
3) 환경적 요인 조정
- 적절한 실내 환경 유지: 온도와 습도를 조절하여 실내 환경이 건조하지 않도록 관리.
- 개인 맞춤형 물 섭취 유도: 일정량의 물을 제공하되, 한 번에 과도하게 마시지 않도록 작은 컵을 활용하여 조절.
- 세수 대체 방법 제공: 얼굴을 자주 씻는 대신 미스트, 보습 크림 등을 사용하여 피부 불편감을 해소하도록 유도.
4. 사례 결과 및 평가
D 어르신의 건강 검진 결과 당뇨와 신장 질환은 없었으나, 구강 건조증과 피부 건조 증상이 확인되었다. 이에 따라 무설탕 캔디와 입안 보습제를 제공하였고, 실내 습도를 적절히 조절하였다. 또한, 명상 프로그램에 참여하도록 유도한 결과 불안감이 감소하면서 세수 횟수가 줄어들었다. 물 섭취량 조절을 위해 작은 컵을 제공하고, 정해진 시간에만 물을 마시도록 유도한 결과 점차 물을 마시는 횟수가 감소하였다.
5. 결론
노인의 반복적 행동에는 신체적, 심리적, 환경적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할 수 있다. 따라서 단순히 행동을 제한하기보다 원인을 분석하고 맞춤형 해결 방안을 제공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사례를 통해 개별적인 접근이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향후 지속적인 모니터링과 관리가 필요하다.
반응형
'사회복지사'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요양원 운영위원회 2분기 회의록 (0) | 2025.03.22 |
|---|---|
| 요양원 운영위원회 1분기 회의록 (0) | 2025.03.22 |
| 요양원 사례관리: 밤마다 침대를 끌고 배회하는 70대 노인의 행동 관리 (0) | 2025.03.22 |
| 요양원 사례관리: 실내화를 자꾸 버리는 65세 노인의 행동 관리 (0) | 2025.03.22 |
| 사회복지사의 미래 전망: 취업 기회, 급여, 그리고 변화하는 역할 (3) | 2025.03.18 |